글피 뜻, 그글피, 사흘, 나흘, 모레: 날짜와 영어 표현 구분하기
한국어에는 날짜를 표현하는 다양한 용어들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 자주 헷갈리는 표현으로 “글피”, “모레”, “그글피”, “사흘”, “나흘” 등이 있는데요. 오늘 글에서는 이러한 날짜 표현들의 정확한 의미와 영어로 어떻게 표현되는지를 알아보겠습니다.

모레 뜻과 영어 표현
“모레”는 오늘을 기준으로 이틀 뒤(2일 뒤)의 날짜를 의미합니다. 내일 다음 날이 바로 모레이죠. 영어로는 다음과 같이 번역됩니다:
- “The day after tomorrow”
사용 예시:
- 내일 모레 시험이 있어.
- 모레는 친구와의 약속이 있어 바빠.
- 프로젝트 마감일이 모레라서 준비해야 해.
모레 = 이틀 = 2일
모레는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표현으로, 다가오는 일정을 나타내는 데 유용합니다.
글피 뜻과 영어 표현
“글피”는 오늘을 기준으로 삼일 뒤(3일 뒤)의 날짜를 가리킵니다. 쉽게 말해, 오늘 다음 날이 내일, 그다음 날이 모레, 그다음 날이 바로 글피입니다. 영어로는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 “Three days from today”
- 또는 “Two days after the day after tomorrow”
예를 들어 사용할 수 있는 상황을 보면:
- 아마 내가 모레 못 가면 글피에는 갈 수 있을 거야.
- 부장님에게 보고서를 글피에 제출하기로 했다.
- 이번 주는 내일, 모레, 글피까지 저녁마다 약속이 있다.
글피 = 사흘 = 3일
이처럼 일상 대화나 계획에서 사용할 수 있는 표현입니다.
그글피 뜻과 영어 표현
“그글피”는 글피의 다음 날을 의미합니다. 즉, 오늘로부터 나흘 뒤(4일 뒤)의 날짜입니다. 영어로는 다음과 같이 표현됩니다.
- “Four days from today”
- 또는 “The day after 글피”
예시:
- 내일 모레 글피 그글피, 계속 바빠.
- 그글피에는 가족 여행을 갈 예정이야.
- 이번 주는 일이 많아서 그글피까지 계속 바쁘겠네.
그글피 = 나흘 = 4일
그글피는 평소 자주 쓰지 않지만, 날짜를 구체적으로 표현할 때 유용합니다.

날짜 표현: 사흘, 나흘 등
한국어에서는 하루, 이틀, 사흘, 나흘과 같은 순우리말 날짜 표현이 있습니다. 이들 표현의 의미는 매우 단순하지만, 특히 외국인들에게는 조금 생소할 수 있습니다. 영어로는 숫자와 날짜의 개념을 섞어 표현하는 방식입니다.
한국어 | 일수 | 영어 번역 |
---|---|---|
하루 | 1일 | One day |
이틀 | 2일 | Two days |
사흘 | 3일 | Three days |
나흘 | 4일 | Four days |
닷새 | 5일 | Five days |
엿새 | 6일 | Six days |
이레 | 7일 | Seven days (a week) |
여드레 | 8일 | Eight days |
아흐레 | 9일 | Nine days |
열흘 | 10일 | Ten days |
이 중에서도 사흘과 나흘은 자주 쓰입니다.
- 사흘: 오늘로부터 3일 뒤 (Three days from today)
- 나흘: 오늘로부터 4일 뒤 (Four days from today)
사흘과 나흘 예시
- 프로젝트가 사흘 남았다.
- 약속이 나흘 뒤로 연기되었다.
이처럼 다양한 날짜 표현들을 이해하면 일상생활에서 좀 더 자연스럽고 명확하게 대화를 나눌 수 있습니다.

왜 날짜 표현을 아는 것이 중요할까요?
한국어의 이러한 날짜 표현들은 문학 작품이나 역사적인 문서에서 자주 등장합니다. 특히, 옛 문헌을 읽거나, 전통적인 한국 문화를 이해할 때 큰 도움이 됩니다. 뿐만 아니라, 정확한 날짜 개념을 이해하고 있으면 계획을 세울 때나 중요한 약속을 잡을 때 더 효과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