헷갈리는 영어 표현 세 가지 완벽 정리
영어 공부 시 모양은 비슷한데 뜻이 다른 표현들이 많아 혼란스럽죠. 오늘은 ‘unaccounted for’, ‘on account of’, ‘an account of’ 세 가지를 명확히 구분해 올바르게 사용하는 법을 알려드립니다.
Unaccounted For 설명되지 않은 행방불명인
자, 첫 번째로 살펴볼 표현은 unaccounted for입니다. 이는 우리말로 ‘설명되지 않았거나 행방불명인’이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쉽게 말해, 있어야 할 것이 없거나, 그 사용처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을 때 쓰이는 표현이죠.
그럼 언제 쓰냐고요? 사람이 사고 후에 실종되었을 때, 또는 회사 장부에서 돈의 행방이 묘연할 때처럼, ‘어디로 갔는지, 왜 없는지 설명이 안 될 때’ 사용됩니다. 문법적으로는 ‘be + unaccounted for‘ 형태로 주로 쓰인다는 점, 꼭 기억해두세요.
예시를 통해 감을 잡아봅시다.
- “Several passengers are still unaccounted for after the accident.” (사고 이후에도 여전히 몇 명의 승객은 행방불명 상태다.)
뉴스에서 자주 접하는 표현이죠? - “A large amount of money remains unaccounted for.” (많은 액수의 돈이 여전히 어디에 쓰였는지 밝혀지지 않았다.)
회사 감사(audit)나 결산 때 보면 ‘이 돈 어디 갔지?’ 싶은 상황, 바로 이겁니다.
주로 공식 보고서나 뉴스 기사 등에서 자주 등장합니다. 알아두면 유용하겠죠?
생각해보면 우리 삶에도 unaccounted for인 것들이 꽤 많지 않나요? 오늘 쓴 돈은 다 어디로 갔을까요?
On Account Of 때문에 원인 제공
앞서 ‘unaccounted for’가 설명되지 않는 ‘행방불명’이었다면, 이번 on account of는 말 그대로 어떤 일의 원인 제공을 분명히 밝힐 때 씁니다. 쉽게 말해 ‘~때문에’, ‘~으로 인해’라는 뜻이죠. ‘because of’나 ‘due to’와 비슷하게, 특정 상황의 명확한 이유를 제시할 때 사용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사용법도 간단합니다. on account of + 명사 / 대명사 형태로 쓰면 되는데요. 예시 문장을 보면 바로 감이 오실 겁니다. “The flight was canceled on account of the heavy snow.” 여기서 ‘the heavy snow'(폭설)가 비행기 취소의 직접적인 원인임을 명확히 알려주고 있죠.
이 표현은 ‘because of’보다는 살짝 더 격식 있는 느낌을 줍니다. 친구와 가벼운 대화보다는 이메일이나 보고서처럼 공식적인 글에서 더 자연스럽죠. 회사에서 어떤 상황의 원인을 명확하게 기술해야 할 때 쓰면, 필요한 격식을 갖추면서도 세련된 인상을 줄 수 있습니다. 어떠신가요? 이제 어떤 상황에서 원인을 설명해야 할지 명확히 아시겠죠? 다음 ‘account’는 또 다른 재미있는 모습으로 찾아옵니다!
An Account Of 에 대한 설명 이야기
자, 지난번 ‘on account of’가 특정 사건의 원인, 즉 ‘왜 그랬는지’를 설명해줬다면, 이번에 다룰 an account of는 완전히 다른 녀석입니다. 이건 말 그대로 어떤 사건이나 경험에 대한 ‘설명’, ‘진술’, ‘이야기’를 뜻해요. 한마디로 ‘무슨 일이 벌어졌는지’를 상세하게 풀어내는 거죠. 마치 경찰이 사건 현장에서 목격자에게 “그때 무슨 일이 있었는지 an account of 해주십시오”라고 말하는 상황을 떠올리면 이해가 쉽습니다.
주로 동사 ‘give’나 ‘hear’와 짝을 이뤄 쓰이는데요, ‘give an account of + 사건/경험’은 ‘~에 대해 설명하거나 진술하다’라는 뜻이고, ‘hear an account of + 사건/경험’은 ‘~에 대한 설명을 듣다’는 의미입니다. 복잡할 것 없죠? 패턴이 아주 명확합니다.
몇 가지 예시로 감을 잡아볼까요?
- He gave an account of what happened during the fire. (그는 화재 중에 일어난 일에 대해 진술했다.)
➡️ 소방관이나 보험 조사관에게 불이 어떻게 시작되었고, 어떤 과정으로 번졌는지 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상황이죠. - I heard an account of the incident. (그 사건에 대한 설명을 들었다.)
➡️ 친구에게 “어제 그 복잡한 일 말이야, 내가 자세한 얘기를 들었잖아” 하고 말할 때처럼, 단순히 소문이 아니라 구체적인 내용 설명을 들었다는 뉘앙스입니다.
이 표현은 주로 목격자 진술, 뉴스 기사, 역사 기록처럼 공식적이거나 중요한 상황에서 사건의 전말을 객관적이고 상세하게 전달할 때 사용됩니다. 단순히 “누가 이렇다더라”가 아니라, ‘이러이러한 과정을 거쳐 이렇게 됐다’는 구체적인 서술이 필요한 맥락이죠. 자, 이제 어떤 사건의 ‘보고서’를 작성하듯, 영어로 그 전말을 시원하게 풀어낼 준비가 되셨습니까?
마무리
이번 글에서는 ‘unaccounted for’, ‘on account of’, ‘an account of’ 세 표현의 정확한 의미와 쓰임을 자세히 살펴봤습니다. 각기 다른 맥락에서 사용되므로 뉘앙스 차이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꾸준히 연습하여 이 표현들을 능숙하게 사용해 보세요. 영어 실력 향상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