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 교사 임용고시 티오 전망
2026학년도 공립교사 임용 규모가 발표되었습니다. 유치원, 초등, 중등 교사 신규 채용 규모가 전반적으로 감소하며, 임용고시 추가합격 제도가 도입되어 교사 수급 방식에 변화가 예상됩니다.
2026학년도 공립교사 임용 규모 현황
자, 그럼 2026학년도 공립교사 임용 규모, 총 몇 명이나 뽑을까요? 총 10,232명입니다. 작년 대비 줄었죠?
특히 초등임용은 약 3,500명 수준으로, 2025년 대비 약 25% 크게 감소했습니다. 늘봄학교 정규화로 인한 초등 저학년 담임 부담 증가가 주된 원인입니다. 초등 준비생들에겐 뼈아픈 소식이죠.
중등임용은 대략 4,500명 선입니다. 작년 대비 10% 내외로 소폭 감소했지만, 학령인구 감소 추세에도 고질적 결원 덕분에 규모를 유지했습니다.
나머지 분야는 유아임용 500명 안팎, 특수교사 1,000명 초반, 보건, 영양, 상담 등 비교과 영역은 700명대로 집계됐습니다.
최종 합격자 발표는 초등/유아 내년 1월 중순, 중등 내년 2월 초로 예상됩니다.
자, 이제 이 숫자들 뒤에 숨겨진 지역별 속사정을 파헤쳐 볼까요? 다음 챕터에서 바로 이어집니다.
2026 지역별 임용 티오 상세 분석
2026년 임용고시 합격을 위한 전략, 그 핵심은 바로 지역별 티오(TO) 분석에 있습니다. 초등임용은 지역별 편차가 확연하게 나타납니다. 아무래도 인구 밀집도가 높은 광역 지역이 유리하겠죠. 현재까지의 흐름을 보면, 상위 5개 지역은 경기, 서울, 경북, 경남, 전남이 유력합니다. 하지만 대전, 광주, 세종 같은 일부 지역은 눈에 띄게 티오가 적을 것으로 예상되니, 이곳을 생각 중이시라면 보다 철저한 전략이 필요합니다.
그렇다면 중등임용은 어떨까요? 초등과는 또 다른 흐름을 보입니다. 여기서는 경기, 서울, 인천, 부산, 충남 지역이 상대적으로 많은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보입니다. 눈치채셨겠지만, 초등과 중등의 지역별 티오 분포는 분명한 차이를 보입니다. 마치 부동산 투자에서 아파트와 상가의 입지 조건이 다르듯, 지원자 본인의 전공 과목과 목표 지역의 티오 현황을 면밀히 비교 분석해야 한다는 거죠. 무턱대고 ‘여기가 좋다더라’ 하는 식의 접근은 금물입니다.
결국, 단순히 선호하는 지역만 고집하기보다는, 실제 티오 데이터를 기반으로 본인의 합격 가능성을 최대한으로 끌어올리는 전략이 현명합니다. 이 지역별 상세 데이터는 단순히 숫자가 아니라, 여러분의 임용고시 합격 로드맵을 그려줄 중요한 나침반이 됩니다. 과연 당신의 최적의 승부수는 어디가 될까요?
임용고시 추가합격 제도 도입의 의미
지난 챕터에서 지역별 티오를 꼼꼼히 뜯어봤으니, 이제 그 티오를 채우는 방식의 큰 변화에 대해 이야기해 볼 차례입니다. 2026 임용고시부터는 ‘임용고시 추가합격 제도’가 도입됩니다. 예전엔 어땠더라? 합격자 중 임용을 포기하는 사람이 나오면 그 자리가 그냥 뻥 비고, 그 티오는 다음 해로 넘어갔었죠. 아, 그럼 그 해에는 그만큼 뽑을 인원이 줄어드는 셈이니, 사실상 기회를 날리는 거였죠.
그런데 새롭게 도입되는 추가합격 제도는 쉽게 말해 대학 입시의 추가합격과 비슷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정원 미달이 생기면 후순위 지원자들에게 바로 기회가 돌아가는 방식이죠. 즉, 미충원된 정원을 즉시 채워버리는 겁니다. 왜 이런 변화가 필요했을까요? 다들 아시다시피 학령인구 감소 문제가 심각하잖아요. 이로 인해 전체적인 교원 선발 규모는 줄어들 수밖에 없는데, 빈자리가 생겨 다음 해로 넘어가 버리면 정규직 교사 수급이 불안정해질 수 있거든요.
결국, 이 제도는 교사 수급을 더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만들려는 정부의 의지이자, 수험생들에게는 당해에 합격할 수 있는 즉각적인 기회를 제공한다는 의미가 있습니다. 자, 그럼 이 추가합격 제도가 과연 여러분의 임용고시 전략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까요?
마무리
2026학년도 공립교사 임용 규모는 초등 및 중등에서 큰 폭으로 감소했습니다. 이는 늘봄학교 정책 조정과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영향입니다. 특히, 임용고시 추가합격 제도가 도입되어 합격 포기로 인한 결원을 즉시 충원하게 되면서, 교사 수급의 효율성이 높아지고 수험생들에게 새로운 기회가 제공될 것입니다. 변화하는 교육 환경에 발맞춘 채용 방식의 유연성이 돋보입니다.